2023년 시험관 시술 비용 정부 지원금 변경 인공 수정 체외 수정 소득 상관없이 최대 110만원 지원 신청방법

Date:

Share post:

지난 글에서는 인공 수정과 시험관 아기 시술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시술들의 비용은 얼마 정도인지 정부에서 지원되는 정책은 무엇 인지, 또한 신청 방법은 어떻게 되는 지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정부는 난임 부부들의 경제 부담을 완화하여 우리나라의 저출산 위기를 극복하고자 2023년 7월부터 난임 부부 지원 소득기준과 시술 별 횟수 제한을 없앤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 모든 난임 부부들에게 시험관 시술 비용 지원이 최대 110만원과 총 22회의 시술 선택권이 보장된다고 합니다.


저의 경우 2023년 4월부터 시험관 시술을 진행했었는데요, 이때는 소득 기준이 있어서 맞벌이 부부의 경우 대부분 시험관 시술 정부 지원을 받을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때 휴직을 하면서 시험관 시술 정부 지원을 받았었는데요,
조금만 더 기다렸다면 휴직을 하지 않아도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었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있네요.

현재 직장을 다니면서 시험관 시술을 고민하시는 분들에게 좋은 소식이 될 거 같습니다.

1. 난임 이란

결혼을 한 부부가 피임을 하지 않았음에도 1년 이내에 임신이 되지 않았을 경우 산부인과에서 각종 검사를 통해 난임 검사를 진행 후 자연 임신이 어려울 경우 불임 또는 난임 판정을 받게 됩니다.


예전에는 임신이 되지 않는 것을 불임이라고 했는데, 불임과 난임의 차이점은
불임이란 임신을 할 수 없는 정확한 이유가 있어 임신이 되지 않는 것을 말하고
난임은 몸에 이상이 없어 임신이 가능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임신이 되지 않은 경우를 말합니다.

난임 진단을 받는 방법은 난임 전문 병원에 방문해서 남성 여성 모두 검사를 합니다. 남성의 경우 간단한 피 검사와 정자 검사만 하면 되고, 여성의 경우에는 검사하는 항목이 조금 더 다양합니다.
피 검사와 각종 호르몬 검사 그리고 나팔관 검사를 통해 난임 여부를 확인하게 됩니다.
혹시나 둘 중 한명 에게 이상이 있을 경우 ‘어떠한 원인에 의한 난임이다’ 라는 난임 진단서를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간혹 부부 모두에게 아무런 이상이 없는데도 결혼을 하고 6개월 이상 자연 임신 시도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임신이 되지 않았을 경우 ‘원인 불명의 난임’이라는 문구가 적힌 난임 진단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 난임 진단서를 받고 보건소에 제출하게 되면 난임 부부 정부 지원금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2. 정부 지원금이 안됐을 경우 시험관 시술 비용 및 인공 수정 비용

기존에 중위 소득 기준으로 정부 지원금 대상을 선별 했을 때, 대부분 맞벌이 부부들은 정부 지원금 대상에서 탈락을 했습니다.
정부 지원금 지원이 안 될 경우 인공 수정의 경우 1회 차에 대략 20~30만원 정도 비용이 발생하고, 시험관 시술의 경우 1회 차에 약 300만원 정도의 본인 부담금이 발생합니다. 정부 지원금을 받은 후에는 시험관 시술 1회 차에 약 32만원의 자부담금이 발생했습니다(약제비 포함). 시술 비용의 10% 정도만 본인이 부담하면 되는 것으로 병원비에 대한 부담이 대폭 낮아졌습니다.

3. 난임 부부 시험관 시술 비용 지원금 확대 내용

시험관 시술 비용 정부 지원 변경

기존의 지원 대상은 기준 중위 소득 180% 이하의 난임 부부 가구로, 부부가 맞벌이인 경우는 소득 기준 때문에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또한 기존에는 난임 시술 횟수도 시술 별 신선 배아 10회, 동결 배아 6회, 인공 수정 5회 내로 지정돼 있어 난임 가구 상황에 맞는 다른 시술을 받고 싶어도 선택의 제약이 있었습니다.

시험관 시술 비용

2023년 7월부터는 지원 소득 기준이 폐지됨에 따라 해당 도시에 6개월 이상 거주한 사실 포함 모든 난임 부부회당20~110만원 까지 시술비를 지원 받게 됩니다. 또한 기존 시술별 횟수 제한을 없애 최대 22회 범위 안에서 난임부부가 원하는 시술을 선택할 수 있습다.

만 44세 이하 난임자 시술비 지원 금액은 신선 배아 최대 110만원, 동결 배아 최대 50만원, 인공 수정 최대 30만원이다. 만 45세 이상은 신선 배아 최대 90만원, 동결 배아 최대 40만원, 인공 수정 최대 20만원을 지원합니다.

4. 난임 부부 지원 대상

해당 시,군에 6개월 이상 거주한 기간이 충족될 경우 난임 부부 시술 지원금 지원 대상으로 선정됩니다. 이는 각자 거주하고 있는 시, 군마다 상이 할 수 있으니 해당 보건소에서 자격 요건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5. 인공 수정 및 시험관 시술 비용 지원 신청 방법

신청은 주소지 관할 보건소를 방문하거나, 정부 24 에서 에서 온라인으로 접수하면 됩니다.

저의 경우 처음 난임 부부 정부 원금을 신청할 때 아무리 이것저것 정보를 검색하고 알아봐도 용어가 너무 생소하고 어려워서 보건소에 방문을 했습니다. 보건소에서 방문을 하고 설명을 들은 후 해당 서류를 작성하고 몇 분 기다리면 정부 지원금 신청이 완료가 됩니다.
보건소 담당 주무관님이 친절하게 처음에는 이렇게 방문하셔도 되는데 혹시 2차, 3차 까지 하시게 될 경우에는 간단하게 온라인으로 신청하셔도 된다고 말씀해 주셨네요.
혹시 처음에 저처럼 너무 어렵고 헷갈리시는 분들은 관할 보건소에 방문하셔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6. 인공 수정 및 시험관 시술 비용 지원 필요 서류

. 난임 진단서(최초 신청 시에만 제출)

-정부 지정 난임 시술 의료기관의 난임시술 의사가 발급한 진단서만 인정

-체외 수정(신선, 동결 배아) 과 인공 수정 용 진단서는 각 시술 별 지원 신청 시 따로 제출

-정액 검사 결과서 유효기간: 진단서 발급일자 기준 6개월 이내 결과서 인정

. 부부 별 건강 보험증 사본 또는 건강보험자격 확인서(의료 급여 수급자의 경우 자격 증명서) 각 1부

. 부부 별 건강 보험료 납부 확인서(기초 또는 차상위 자격소지자는 해당 자격 증명서) 각 1부

. 주민 등록 등본 또는 가족 관계 증명서(부부의 거주지가 상이한 경우 부부 관계 확인)

. 사업자등록증명원, 위촉 증명서 등 1부(맞벌이 사실 증명 서류 필요 시)

. 개인정보 제공동의(서), 행정정보 공동이용 동의(서)

. 당사자 시술 동의서(사실혼의 경우)

. 주민등록등본 및 가족관계등록부 당사자 별 각 1부(사실혼의 경우)

. 1년 이상 사실상 혼인 관계를 증명할 수 있는 공문서 1부(사실혼의 경우)

*주민등록등본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경우 생략, 해당 공문서가 없는 경우 사실 혼 확인 보증서 제출

. 당사자 중 1인이 외국인일 경우, 신청일 기준 외국인 등록 사실 증명, 국내 거소신고사실 증명 중 1부.

7. 시술비 신청지원 절차

.지원 신청 (신청자 → 보건소)

-정부24 등 온라인 신청 또는 보건소 방문

. 지원결정통지서 발급 (보건소 → 신청자)

-지원자격 확인 후 지원결정 통지서 발급(유효기간: 발급 후 3개월)

. 난임시술 (신청자 → 시술의료 기관)

-시술 의료기관 방문

-지원결정 통지서 제출

-난임 시술 시작

. 청구 (시술의료기관→보건소 또는 신청자 → 보건소)

-난임시술 확인서, 비용청구서 등 제출

. 지급(보건소→시술의료기관 또는, 보건소→신청자)

-청구서류 확인 후 지급대상액 지급

저의 경우 난임 부부 시술 지원금 지원 통지서를 병원에 제출 한 후 시험관 시술을 할 때,
그날 그날 결제를 할 때마다 시험관 시술 지원 금액에서 차감을 한 후 본인 부담금 10% 정도만 결제를 했습니다.
저의 경우는 보건소에서 시술 의료기관으로 직접 청구를 하는 방식이였던 거 같네요.
거의 모든 병원에서 저처럼 직접 보건소로 비용을 청구하고 있으니 청구와 지급에 대해서는 신경 쓰실 부분은 없으실 거예요.
보통 결제 금액의 10%인 본인 부담금만 결제를 하지만, 간혹 비 급여인 주사나 약이 있을 수 있는데 그건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금액을 알려드리긴 어렵지만 저의 경우 1차 시험관 시술(난자 채취~이식까지) 의 경우 정부 지원금을 제외한 본인 부담금이 130만원 정도 들었습니다.

이것도 적은 금액은 아닌데, 정부 지원이 안되면 얼마나 큰 돈이 들었을지..정부 지원이 안됐다면 이렇게 난임 시술을 받을 생각도 하지 못했을 거 같아요.이렇게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어서 다행이라 생각이 듭니다.
앞으로 난임 부부들에 대해 시험관 시술 비용을 더 크게 지원해 준다고 해서 기대가 되고 있는데요, 지금 너무나 초 저출산인 우리나라에서 이왕이면 시험관 시술 비용을 파격적으로 지원해 줘서 난임 부부들에게 큰 힘이 되었으면 하는 소망이 있습니다.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최신 인기 글

먹토 폭식증 극복은 얼마나 걸릴까? 실제 식이장애 낫는 기간 1개월

먹토 폭식증 극복은 얼마나 걸릴까? 실제 식이장애 낫는 기간은? 먹토 폭식증 극복 상담 후기-요즘 상담하면서 느끼는 것들 어느덧 내가 《김진현...

씹뱉하면 살이 빠질까?-먹토10년, 씹뱉2년 이상 경험자가 총 정리해줌

 '씹뱉'을 검색해 보면 많은 글들이 "씹뱉하면 살 빠지나요?""씹뱉해도 왜 살이 안빠지나요?""씹뱉이 먹토보다 낫지 않나요?""씹뱉이 왜 안좋나요?" 라는 글들이 대부분이다. 씹뱉을 하면...

내돈내산 먹토 침샘보톡스 후기 폭토 얼굴형 윤곽주사 효과

아니 여러분..저 먹토 끊은지 6년차거든요?!그래서 얼굴이 딱히 커질 일이 없는데..주기적으로 맞던 윤곽주사를 안맞은지가 3~4년이 지나서 그런가..턱선이 완전 무너졌더라고요..? 저...

식이장애, 먹토 끊으면 살 얼마나 찔까? 음식 먹는 두려움 극복 및 위 줄이기(6-1)

먹토 끊으면 살이 얼마나 찔까? 아마 식이장애 중 먹고 토하는 먹토, 폭토를 하는 사람들이 가장 궁금하고 두려워 하는...